티스토리 뷰
오늘은 유연성 기르는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 몸이 유연하지 못하고 뻣뻣하게 굳어 있는 상태에서는 자세교정에 필요한 운동을 할때나 앉아 있을때도 몸이 틀어질 수 있으므로 꾸준히 유연성 스트레칭과 운동을 하여 뻣뻣한 몸을 관리해 주는 것이 좋습니다.
운동이나 어떤 동작을 할때, 자신이 생각한것처럼 몸이 움직여지지 않는 것은 몸의 유연성이 부족하기 때문입니다. 몸이 뻣뻣하여 몸을 쓰는 것 자체가 어색한 분들도 마찬가지인데요. 하지만 몸이 유연해지는법을 여러번 꾸준히 연습하면 정상적인 상태로 돌아 올 수 있습니다.
몸이 유연하지 못 한 것은 체력이 부족할 경우에 나타나기도 하는데요. 적당하게 근육을 길러주면서 유연성 스트레칭 동작을 반복해주어 몸이 익숙해지도록 하는 것이 좋습니다. 여기서 알려드릴 유연성 운동은 쉬우면서도 난이도가 있는 것들로, 꾸준히 해주면 좋은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.
■ 다리 찢기
이 유연성 스트레칭은 엄청난 노력과 시간을 필요로 합니다. 그래서 자신의 의지와 노력이 중요하며, 특히 차분한 마음을 가지고 해야지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. 다리찢기는 근육의 뭉침을 풀어주고 인대를 늘리는 역할을 하며, 유연성은 물론 성장에도 도움을 줍니다. 다리찢기는 초반부터 무리하게 하지말고 점차적으로 서서히 간격을 벌려가며 하는 것이 좋습니다.
■ 코브라 자세
코브라 자세는 몸이 뻣뻣해지는 결림증상도 개선해 주는 유연성 기르는법으로 좋은 운동입니다. 바닥에 엎드려서 다리를 공간없이 가지런히 모은뒤 다리의 당김이 느껴지도록 발가락으로 발이 수평이 되게 해줍니다. 이 상태에서 두손으로 바닥을 짚고 상체를 고개도 같이 들어 올려 줍니다.
코브라 자세를 응용하여 허리의 유연성에 큰 도움이 되는 자세를 할 수도 있습니다. 코브라 자세에서 상체와 하체의 간격을 좁힌 다음, 아래로 미끄러지듯이 상체를 올려줍니다.
■활 자세
활자세는 상체와 하체를 동시에 사용하는 유연성 스트레칭입니다. 이 자세는 다리가 몸을 지탱할 수 있는 힘이 뒷받침되어야 합니다. 두 발로 선 다음, 한 쪽 다리를 뒤로 들어올리고 한쪽 팔로 당겨줍니다. 이때 다른 팔은 기준이 될 수 있게 앞으로 쭈욱 뻗어줍니다. 이후 눈을 감고 숨을 천천히 쉬어주며 연습합니다.
유연성 스트레칭은 많이 한다고 해서 효과를 볼 수 있는 것이 아닙니다. 시간이 날때마다 틈틈히 해주는 꾸준함이 중요합니다. 평소에 몸이 잘 굳고, 운동 신경이 좋지 못 하다면, 운동 전에 충분한 스트레칭과 다양한 동작을 해 보는 것이 좋습니다.
'사설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엉치뼈통증, 엉치가아픈이유 알아봅시다. (1) | 2016.05.12 |
---|---|
허리아플때 올바른 허리에 좋은 자세 (앉는, 자는, 서있는) (0) | 2016.05.08 |
거식증 초기증상, 원인과 치료 (0) | 2016.05.03 |
대인기피증 극복, 대인기피증 원인과 증상 (0) | 2016.05.02 |
아이라인 안번지는법, 아이라인 번짐 해결! (0) | 2016.03.28 |